시놀로지 나스 내부망 느릴 때 (컴퓨터 나스 간 파일전송 느릴 때)
- 일상
- 2023. 1. 13.
시놀로지 나스 DS220+ 를 잘 쓰고 있습니다.
인터넷은 KT 쓰고 있는데, 가장 저렴한 슬림으로 사용 중입니다.
그래서인지 인터넷으로 다운로드 속도는 10MB/s 정도 나옵니다.
답답할 때도 있지만, 인터넷 라이트유저라서 크게 문제는 없습니다.
그런데 나스와 컴퓨터간 (원내망) 파일 전송 속도는 100MB/s 정도로 빠를 줄 알았지만,
(시놀로지 나스 DS 220+ 가 Giga bps 속도를 지원하기 때문에 당연히 빨라야 합니다.)
실제로는 외부망 속도인 10 MB/s 이내로 나옵니다.
파일을 전송하는 것 뿐아니라 불러오는 속도도 느리니 아주 답답합니다.
이번에 이사하면서 홈네트워크를 제대로 구축하니 이 문제가 해결되었습니다.
원래 홈 네트워크는 아래 그림과 같은 방식으로 연결을 해주어야 합니다.
같은 공유기 내에서 나스와 컴퓨터가 연결이 되어야 합니다.
이같은 방식에서 전송속도는 Giga bps 속도가 나옵니다. (100MB/s 이상 나와서 시원하게 파일 전송이 가능합니다. 마치 또다른 하드디스크가 생긴 느낌입니다.)
나스와 컴퓨터 사이에 통신사 모뎀이 끼어들어가면 외부망 속도로 연결이 됩니다. 이렇게 연결하면 안됩니다. (아래 그림 참조)
공유기는 IPTV 에 바로 연결이 되어야 하므로 대부분 거실에 TV 옆에 두게 됩니다.
그런데 그 공유기에 컴퓨터까지 바로 연결하려면 거실에 컴퓨터가 있어야 하는데...
대부분 가정에서 컴퓨터는 방에 위치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러다보면 위 그림처럼 모뎀을 끼고 나스와 컴퓨터가 이어지는 구조가 형성됩니다.
제대로 홈네트워크가 구성되지 않습니다.
아니면 단자함에 공유기를 같이 넣는 방법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다만 단자함의 크기가 공유기가 들어갈만한 크기여야 하며, ( +콘센트도 하나 더 있어야겠죠)
IPTV 의 경우 통신사 공유기에 직접 연결이 되어야 한다고 알고 있는데,
IPTV가 잘 동작할지 의문입니다.
아래와 같이 공유기를 하나 더 사서 사용하는 방법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근데 공유기를 하나 더 구입해야할 것이고 공유기 세팅값도 바꿔줘야 할 것입니다.
복잡해서 저는 이 방법으로 진행하지 않았습니다. (저는 네트워크 전문가가 아닙니다.)
대신 아래의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스위치허브 하나만 있으면 됩니다!
처음에 KT 기사님께 홈네트워크 구축을 하려고 한다고 말씀드리고
공유기를 단자함에 넣어 달라고 요청드렸더니
단자함 공간이 작아서 들어가지 않는다고 하였습니다.
그래서 공유기에서 단자함으로 나가는 선을 뽑아주시고
컴퓨터에서 단자함으로 가는 선도 뽑아주시면
제가 스위치허브를 사서 달겠다고 하였습니다.
바로 위 사진과 같은 방법입니다.
이 후 원내망 전송속도가 100MB/s 가까이 빨라졌습니다.
속이다 시원합니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두를 위한 AI 강의 (서울대학교 무료 강의) (0) | 2023.01.15 |
---|---|
봄날 분위기 나는 보정 [라이트룸 세팅 01] (0) | 2023.01.14 |
시놀로지 나스 이사 (0) | 2023.01.13 |
그랜저 HG 오디오 소리가 안난다면? 이것을 점검해보자. (0) | 2022.12.16 |
(TVN 드라마) 아는 와이프 인상깊은 장면 #8 (0) | 2022.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