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마 서울 집값이 20억 하겠어?
- 재테크 & 부동산
- 2018. 10. 28.
설마 서울 집값이 20억 하겠어?
지금도 부동산에 관심만 있지, 초보 중에 초보지만, 예전 부동산을 더 몰랐을 때 아파트가 5~6억이라고만 해도 비싸고 고급 아파트의 가격이자 이미지였다. 예를 들어 수지에 신축아파트 분양가가 6억으로 책정되었을 때 "무슨 용인 아파트가 6억을 해?" 이런 이야기를 심심치 않게 들었다. 하지만 현재 용인 수지에 신분당선 역세권 신축 아파트는 이미 8억이상 하고 있다.
서울도 마찬가지이다. 월급은 그대로이고, 생활 수준도 과거에 비해 아주 많이 달라진 것 같지는 않은데, 서울 집값이 20억이 넘어가면 과연 구매력이 있는 사람이 있을까? 집값이 천장이 없이 계속 상승할 수 있을까? 적어도 가까운 미래에... 이렇게 생각했었던 것 같다.
하지만 요 근래, 특히 1년 동안 서울 집값은 굉장한 상승을 보여 주었다. 수개월만에 몇 억씩 올라가는 집값을 보니, 이제 6억하는 아파트는 저렴해보이기까지 하다. 강남에 아파트를 사려면 이제는 최소 10억이상은 있어야 할 것 같다.
또 얼마전 썰전을 시청하다가 세계 주요 도시의 집값이 엄청나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뉴욕에서도 30평대 집에 거주하기 위해서 50억이 있어야 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이 이야기를 듣고 보니 서울 집값도 20억이상 할 수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썰전에서는 Asset parking 에 대한 내용도 있었다. Asset parking 은 부자들 특히 자신의 나라가 불안정한 경우, 예를 들어 중국 부자들이 안전한 나라의 부동산을 구입하므로써, 자신의 자산을 보호하는 행위이다. 마치 좋은 차를 좋은 차고에 주차하는 듯한 모양새여서 Asset parking 이라는 용어가 되었다. 우리나라의 남북한 관계가 호전되면 중국 부자들의 Asset parking 이 일어날 것이고, 미리 대처하지 않는다면, Asset parking 으로 인해 서울 집값은 더 급등하게 될 것이라고 예상된다는 내용이었다.)
현재는 9.13 부동산 대책 및 여러가지 정책들로 부동산 시장이 강보합을 유지하는 형국이다. 필자 또한 부동산에 관심만 있지, 정작 서울 아파트 한 채조차 없는 평범한 서민으로서, 대출이 조여지고, 향후 금리 인상이 예상되다보니 수요 심리가 위축되는 것이 사실이다. 양도세 중과로 매물또한 잠겨버리니 공급도 적어 진다. (그나마 공급조차 적어져서 부동산 급락의 가능성은 적고, 향후 보합을 유지할 것 같다.) 따라서 앞으로 1~2년간은 보합을 유지하다가 이 후에 조정기가 오거나 약상승하는 상황 (정책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이 오지 않을까 예상된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서울 집값은 오를 것이 분명하며, 세계 주요 도시들의 집값 수준에 비해 서울의 집값이 현재는 저렴하다고 느껴진다.
서울 집값에는 천장이 없는 것 같다.
끝.
2018. 10. 28 - SJH
'재테크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잘하는 법 (0) | 2018.11.20 |
---|---|
집값은 언제 오르고, 언제 내릴 것인가? (0) | 2018.11.02 |
현금카드나 통장 없이 ATM에서 현금 인출방법 : 위비꿀머니 (0) | 2018.10.20 |
옆집 할머니 이야기 (1) (0) | 2018.10.14 |
주택공급에 대한 규칙 일부 개정안 (18/10/11 MBC 보도 발췌) (0) | 2018.10.14 |